백악관, 중국 선박에 부가할 항만 요금 완화 검토중
백악관은 미국 석유 회사, 수출업자, 농민들의 강한 반발에 따라 중국 선박에 대한 수백만 달러 규모의 항만 요금 부과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초 이 요금은 항만 정박당 최대 350만 달러에 이를 예정이었으며, 국내 조선업 지원을 목표로 했지만, 해운 비용 상승과 경쟁력 저하 등의 경제적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비판론자들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다양한 선박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대형 컨테이너선에만 적합한 일률적인 요금 구조를 설정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선박 크기 및 화물량을 반영한 수정된 요금 체계가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정부의 새로운 행정명령은 미국 해운 산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외국 선박에 대한 과도한 부담 없이 국내 해운을 지원하는 대안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계해운협회(WSC)는 공급망 붕괴와 법적 대응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정책 변화는 경제적 영향을 재평가한 결과이며, 향후 추가 조정이 예상됩니다.
미 수입업체, 중국에 145% 관세를 부과한 후 주문 줄이기 시작
백악관의 새로운 145% 관세로 인해 미국 수입업자들이 중국에서의 주문을 취소하거나 지연시키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높은 비용 부담으로 인해 수입 화물을 그대로 항구에 방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전부터 중국 제조업체들은 20%의 관세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최소한의 이윤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을 크게 낮춰야 했습니다.
아마존과 같은 유통업체들은 이미 주문을 철회하기 시작했으며, 중국 수출업체들은 선적을 중단하거나 항해 중인 화물의 가격을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미국 구매자들은 추가 관세 부담으로 인해 상품을 항구에서 포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 변화로 인해 미국 수입업자들은 공급망을 다변화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캄보디아와 베트남과 같은 국가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저가 소비재가 미국에서 생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도 미국 제품에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는 특히 미국의 콩 농가와 제조업체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일부 기업들은 수요 감소로 인해 채용과 생산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이번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의 기업들 모두가 경제적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필리핀 선원 전문 CTI 유 재필. c.p.yu@cticrew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