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 한인선식 만물박사 경조사 Seafarer
조회 2144  댓글 9  공감 9   글쓰기 수정 삭제
제목
 Starlink와 FX
작성자
 xxx.xxx.233.97 / 23-07-24 06:54:11
둘다 좋은 시스템이지만 구성이 다름
Fleet Express는 INMARSAT에서 운영하고
극지방을 포함한 전 지구 커버중.
Global Express 위성 기반으로 음영구역 FBB 위성으로 백업해주는 시스템
안테너는 60CM짜리 쭈꾸미 씀.
고고도 정지 위성으로 위성 수명이 높고 발사비와 궤도 유지비가 비쌈.
안정성은 높으나 대역폭 한계가 있음.
앞으로 위성 6개 정도 더 올라갈 예정
현재 돈만 낸다면 500Mbps급 회선도 사용 가능하나 국내 선사중 저런 요금제 쓰는 회사는 없음.
Starlink
엘런머스크가 개발 및 운영주도
원웹가 경쟁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한 자금 문제로 원웹 시스템이 인도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경쟁은 INMARSAT과 IRIDUM만 남음
저고도 위성으로 위성 수명이 매우 짧고 안정성이 낮음.
이걸 Space X project의 일환으로 물량 공세로 해결하려 시도중.
아직 커버리지가 전세계 커버가 안되고 요금도 FX랑 큰 차이가 없음.
Starlink도 땅파서 장사하는게 아니라 선박용 요금은 비쌈.
육상 생각하면 안됨.
육상은 위성 1개당 잠재적 이용자가 만단위가 넘으므로 집중 투자하고 규모 경재 실현 가능
해상은 이미 Inmarsat이라는 강력한 독점 구조에 밀고 들어가야되서 수익 불투명한데
육상보다 면적도 넖어서 위성을 더 많이 소모해야함.
위성 유지비 대비 수익율 생각하면 2~4Mbps 회선급 요금제는 한달에 대략 3,000~5,000$이상은 나와야 수치가 맞음.
400Mbps급은 연안에서 육상 대역폭 남는걸 할당하거나 초고가의 요금제를 적용해야 가능한 수치임.
실제로 Starlink사용자 이야기 들어보면 대양에서는 2~4Mbps급이고 400Mbps은 연안만 가능.
가격도 FX랑 차이 없음.
대양에서 100Mbps급 실현할려면 Starlink는 위성을 수만개를
1만대도 안되는 가입 선박을 위해서 꾸준히 유지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옴.
수신기도 가정용 수신기 사용 불가능 FX랑 동급의 쭈꾸미 설치 해야함.
일반 수신기 사서 배에가서 70$에 쓰면 되겠지는 헛된 꿈임.
즉 Starlink 선박용은 70$ 현재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한 가성비임.
Starlink가 앞도적으로(회사 부도 날거 감수하고) 싼가격으로 밀고 나오는게 아닌 이상 FX와 지속 경쟁하게 될 거임
그래도 경쟁은 좋은거라 FX쪽도 위성 숫자 확보되면 요금 내릴 가능성이 많으므로 기대하는 중.
현재까지 VSAT, FX 써본 결과로는 둘다 RADAR MAST가 문제임. 위성 음영보다 MAST 음영이 더큼.
코스 따라서 MAST가 위성을 가려버리면 변침하거나 다른 위성 커버리지 들어가기 전까지는 위성 안 잡힘.
이 문제는 Starlink도 고스란히 따라오는 문제로 예상됨.
글비밀번호  등록

Starlink와 FX는 모두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Starlink는 SpaceX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FX는 Viasa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Starlink의 장점.
빠른 속도: Starlink는 현재 시중에서 가장 빠른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
광범위한 범위: Starlink는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음
안정적인 연결: Starlink는 기존의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

Starlink의 단점.
높은 가격: Starlink의 월간 요금은 다른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보다 비쌈
초기 설치 비용: Starlink는 초기 설치 비용이 다른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보다 비쌈
가입 제한: Starlink는 현재 가입자가 많아서 가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음.


FX의 장점.
저렴한 가격: FX의 월간 요금은 Starlink보다 저렴
초기 설치 비용: FX의 초기 설치 비용은 Starlink보다 저렴
가입 제한 없음: FX는 가입 제한이 없음

FX의 단점.
느린 속도: FX의 속도는 Starlink보다 느림
제한된 범위: FX는 Starlink보다 범위가 제한
불안정한 연결: FX의 연결은 Starlink보다 불안정
결론적으로, Starlink와 FX는 모두 장단점이 있는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어떤 서비스가 더 나은지는 사용자의 필요와 예산에 따라 다름.
댓글 07-24 11:30 (20.51)   X
ㄴ Fx는 양극지방 포함. 이미 전세계 커버중이고
중기 계획에 따라 대역폭 확보 위해 추가 위성 발사 예정임.
백업 시스템으로 FBB가 같이 설치되야함.
Startlink는 아직 전세계 바다 커버 불가능.
위성 발사 더 해야함.
백업 시스템은 없으나 위성망을 촘촘이 깔아 다음 위성이 커버한다는 계획이지만 사용 주파수대가 기상에 영향을 많이 받음.
대양에서 안정성은 오히려 Fx가 높음.
08-21 11:01 (228.65)   X
좋은글 잘봤습니다~
댓글 07-24 21:18 (233.97)   X
앞도적은 ㅎㅎ 장난으로 치신 건가요?ㅋㅋ
댓글 07-24 21:43 (128.251)   X
몇가지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어서 댓글을 달아봅니다.
1. GX안테나는 60cm만 있는것이 아니라 상선처럼 큰 선박에는 기본적으로 1미터 안테나를 추천합니다.  그게 60보다는 출력이 높으니까요.  다만, 선사에서 가격을 이유로 저렴한 60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GX는 다운로드 500Mbps 급이 아니라 50Mbps입니다.  그런데 요금이 무시무시해서 과연 거기까지 사용을 하셔야 하는지는... 4Mbps 요금이 한달에 $2,500 정도입니다.  중요한건 업체에서 말하는 MIR(최고속도)이 아니라 CIR(최저보장속도)입니다.MIR 4Mbps로 가입을 하더라도 CIR 이라는 보장속도가 없다면 통신이 끊어져도 항의할수가 없다는 겁니다. CIR이 512Kbps라면 최소 그정도의 속도는 항시 보장한다는 말입니다.  그만큼 요금제는 CIR이 얼마인가에 좌우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선사에 물어보시면 CIR이 없는 계약인 경우가 대부분일겁니다.  집에 인터넷을 1기가로 가입했는데 계약내용에 잘 나오면 1기가지 최저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끊어져도 나는 모릅니다...  이런 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업에 계신분들이 저를 미워하실지도...

3.  Starlink는 이미 4천개의 위성을 운용중입니다.  지구의 모든 지역을 커버한다고 보면 되지만 아직 국가별로 인증이나 그런 문제로 서비스가 되지 않을 뿐입니다.  선박용 요금은 물론 육지에 비하면 비쌉니다.  홈페이지에서 보니 50GB 요금제가 한달에 $250입니다. 1테라는 천불이고 5테라는 5천불입니다. 이정도면 1테라 요금제가 대충 VSAT글로발에서 1.5Mb 요금제와 비슷하네요.  50기가 요금의 경우는 완전 혜자입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는 FBB 기준으로 보면 25메가 요금이 대략 300불이 넘습니다.  요금만 보면 너무나 저렴합니다.  다만, 실제 사용하는 선박에서 얼마나 안정성이 보장되느냐에 따라 향후 판도가 바뀔거라 생각됩니다.  말씀하신 실사용자의 의견처럼 대양에서 2~4Mbps 속도가 CIR 개념만큼 연결성이 보장된다면 저는 스타링크의 미래가 밝다고 봅니다.

4. 수신기 : 말씀하신 GX의 60cm 안테나는 2만불이 넘고, 1미터 안테나는 3만불이 넘습니다.  설치도 까다롭고 로케트처럼 생긴 마스트도 용접해야하죠.  혼자서 설치는 무리고 2인 이상이 이틀정도는 설치에 매달려야 합니다.  업체마다 다르지만 설치비는 대략 200에서 300만원 정도 부릅니다.  하지만 스타링크 안테나는 하드웨어가 5천불도 안합니다.  GX와 다르게 구동축이 전혀 없어서 그런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다만, 위성의 위치가 안테나를 기준으로 수평선과 가까울수록 신호를 잡지 못할 가능성이 큰 것 같습니다.  GX는 구동축이 움직이면서 자동으로 위성을 잡고 가니까 신호를 더 잘 잡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인말샛 위성은 고정된 위치고 스타링크는 저궤도에서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신호가 끊어지더라도 그 시간은 길지 않을 겁니다.  이리듐보다도 더 빨리 회복이 될 것 같습니다.  위성숫자가 더욱 압도적이니까요.  마지막으로 마스트로 인한 음영의 문제는 인말샛이 더욱 더 큰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같은 코스로 일정시간을 항해해야 하는 경우면 더욱 더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왜냐면 인말샛 위성은 정지궤도라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리듐이나 스타링크는 위성이 계속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마스트로 인한 문제에서 인말샛 보다는 자유롭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스타링크는 말씀드린 것 처럼 숫자가 이리듐에 비하면 너무나 많아서요.
댓글 07-25 13:59 (222.71)   X
ㄴ Gx100 안테나는 V-sat겸영용. 순수 Gx 운영시 MV이기 때문에 60설치함. 안테나 크기는 수신감도 보다 주파수 문제임.
08-21 10:33 (228.65)   X
스타링크 사용자입니다. 오래 사용해보진 않아서 전세계 방방곡곡 돌아다니면서 써본건 아니라 확실시는 모르겟습니다.
안테나 포함 설치자재비 3500usd. 필요하시면 리십트 보내드릴수 있습니다. 예전에 vsat 배에서 설치하다가 뚜껑 조금 찌그러진거 안테나 교체하니마니 그랫을때 2천만원 정도 한걸로 기억합니다. 스타링크는 위성도 그냥 모니터 정도 사이즈라 설치하는것도 간단합니다.
2달동안 한국 일본 호주를 다니면서 사용해본 결과 그냥 개빠르고 vsat처럼 음영구역이 잇다거나 그런적이 단한번도 없었습니다. 제가 머 mbps이런건 잘 모르겟고 본선 토탈 한달에 1테라로 알고있습니다. 속도가 어느정도냐면 다들 아시다시피 필리피노들 동영상 페이스북 같은거 일마치면 계속 틀어놓는데 선원 28명 승선하는 배이고 그런와중에도 유튜브 한번도 끊김없이 시청햇엇고 100메가 받는데 1분 정도 걸렷던것 같습니다. 하도 선원들이 써재끼다보니 7월 중순부터 속도가 자동으로 드롭되고 지금은 매우 느린상태입니다. 선장이 말하길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되다보니 18일정도만에 본선 할당량아 1테라를 다써버려서 그렇다고 하더라고요. 지금은 매우느린상태로 예전에 vsat 사용하는 느낌입니다.
본선에서는 다들 스타링크 때문에 다시 이배를 타아겟다고 하고 저도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인터넷이 끊김없이 되니 가족들이랑 일마치고 언제든지 영상통화도 가능하고 은행업무 및 배에서 할수잇는게 천지차입니다. 저는 sk장기고객인데 언제부턴가 t바로 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가지고 제 핸드폰으로 제 전화도 되고 아주 편리합니다. 뭐 사소한 서류하나 인터넷 안되서 회사 메일보내서 받아야되고 그런 귀찮은 일도 없습니다. 그냥 신세계이고 외부랑 연락도 잘되고 정보도 바로바로 접할수 잇기때문에 배를 타도 혼자 떨어져 잇다거나 그런 느낌이 없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각 선사들이 요즘 선원이 없어서 난리라고 하던데 스타링크 먼저 까는 회사로 다들 이직한다에 한표겁니다. 저는 월급 천불 덜받아도 스타링크 깔려잇음 그배 타러 갈겁니다.
댓글 07-30 00:40 (10.241)   X
ㄴ 사용하신 입장에서의 피드백 정말 잘 봤습니다.  저는 위성통신 업계에 근무중이고 스타링크와 판매점 계약을 했는데 올려주신 피드백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부디 사업자가 주가 되는게 아니라 사용하시는 분들이 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그런 서비스가 구축되길 바랍니다.  그러면 기존 사업자들도 정신차리고 선의의 경쟁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입니다.
07-31 12:06 (222.71)   X
ㄴ Fx 2Mps 플랜 사용시 한달 400~500Gb사용중.
선원복지 300Gb, 업무용 100gb 가량
회사에서 업무용 회선 대역폭 확보 위해 선원용 용량 제한 걸어서 그러지 실제는 무제한 요금제 사용중임.
영상 통화, 유튜브 시청가능,은행업무 가능.
V-Sat쓸때도 가능했던 기능이지만 Fx(Gx 위성은 MV sat임)변경후 더 쾌적해짐. 여기서 대역폭만 늘리면 좋겠지만 비용이 문제.
Starlink는 아직 전세계 커버 안되서 완전 부정기 운항 선박은 백업 시스템 없이는 사용이 곤란함. 아직 바다쪽 위성이 전부 발사안됨.
08-21 10:55 (228.65)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