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리스트는 선박의 구조적 건전성, 주요 장비의 정상 작동, 안전 설비 구비 및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1. 선박 구조 및 주요 장비 점검 • 선체 및 갑판 상태 – 선체 외판과 갑판에 외관 손상이나 부식이 없는지 확인하고, 도장(코팅) 상태가 양호한지 점검합니다. 손상이나 부식이 발견될 경우 즉시 보고 및 보수 조치가 필요합니다. • 조타 장치 및 추진 시스템 – 조타 장치(핸들과 러더)와 추진 장치(주기관, 프로펠러)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시험합니다. 조타실 및 비상 조종 시스템도 정상 동작을 확인하고, 엔진룸의 추진 장치 계통에 누유나 이상 진동이 없는지 살펴봅니다. • 전기 및 항해 장비 – 다중 항해 장비들의 전원 공급 및 작동 상태를 점검합니다. 레이더, GPS, 전자해도(ECDIS), AIS, VHF무선, 위성통신 장비 등이 정상 동작하고 최신 소프트웨어와 업데이트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예비 전원(비상 발전기) 공급이 원활한지도 함께 확인합니다. 2. 안전 및 구명 장비 점검 • 구명 장비(Life-saving appliances) – 구명정과 구명뗏목이 계약된 수량대로 적절히 구비되어 있으며 정상 전개 및 작동되는지 확인합니다. 구명조끼, 비상위치표지장치(EPIRB), 레이더트랜스폰더(SART) 등 필수 구명 장비도 모두 제자리에 있고 기능 점검을 수행하여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소화 장비(Firefighting equipment) – 선박에 갖춰진 모든 소화 장비를 점검합니다. 휴대용 소화기부터 소화 펌프 및 소화배관, 스프링클러/고정식 소화 시스템, 화재 탐지기 및 경보 장치까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합니다. 각 소화 장비의 검사 유효기간과 충압 상태도 확인해야 합니다. • 비상 탈출 경로 및 절차 – 선내 비상구와 피난 통로에 장애물이 없고 표시등과 안내 표지가 명확히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비상 조명등이 작동하는지 시험하고, 승무원들이 비상시 대피 절차와 집합장소(Muster Station)를 숙지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3. 문서 및 국제 규정 준수 확인 • 국제 협약 및 규정 준수 – 선박이 IMO에서 요구하는 모든 국제 협약 요건(SOLAS, MARPOL, STCW 등)과 코드(ISM Code 안전관리, ISPS Code 보안관리 등)를 충족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를 위해 선급이나 행정기관의 검사 증서에 유효한 서명이 있는지, 각 규정에 따른 필수 장비와 절차서가 구비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 선박 관련 문서류 – 선박 등록증, 톤수 측정 증서, 선급 증서(Class Certificate), **안전관리 적합증서(DOC)**와 선박운항 적합증서(SMC), 보안 적합증서(ISSC), 보험 서류(선체 보험, P&I Club 가입 증서) 등 필수 문서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울러 로이드 등록 등 관련 서류 및 각종 검사 증명서(예: 구명정 및 소화장비 검사증)도 최신 상태로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4. 컨테이너 취급 및 적재 설비 점검 • 크레인 및 윈치 작동 상태 – 선박에 자체 적재용 데크 크레인이 장착된 경우 크레인의 회전, 인양, 트롤리 이동 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시험합니다. 자체 크레인이 없더라도 **양묘기(앵커 윈치)**와 계선 윈치(묘박 윈치) 등 갑판 기계류가 원활히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윈치의 브레이크 상태와 윤활, 그리고 필요한 경우 예비 와이어와 샤클 등의 구비도 점검합니다. • 컨테이너 고정 장치 및 라싱 장비 – 컨테이너 적재시 사용하는 셀 가이드(Cell guide), 트위스트록(twist-lock), 라싱바 및 턴버클 등의 상태와 수량을 확인합니다. 장비에 손상이나 변형이 없는지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여분의 라싱 장비가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화물 결박 매뉴얼(Cargo Securing Manual)**에 따라 적재 및 결속 절차를 준수할 수 있도록 관련 장비와 표식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 냉동 컨테이너 전원 공급 시스템 – 냉동 컨테이너(Reefer 컨테이너)를 운용할 수 있도록 전원 콘센트와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각 냉동 컨테이너용 전원 소켓이 정상 작동하고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 관련 전선과 회로 차단기 상태는 양호한지 확인합니다. 필요시 비상 발전기로 냉동 컨테이너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도 숙지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화물창 및 탱크 청결 상태 – 화물 적재 전 선창(hatch) 내부와 탱크의 청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선창 바닥과 벽면에 잔존 화물이나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고 건조한지 검사하고, 조명과 환기 설비도 이상이 없는지 살펴봅니다. 또한 밑창(Bilge)에 폐수나 오염물질이 없는지 확인하여, 초기 화물 적재에 문제가 없도록 합니다. 5. 승무원 생활 및 편의시설 점검 • 생활 공간 상태 – 선원들의 생활 구역(선실, 침실, 휴게실, 식당 등)이 청결하고 모든 시설이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침구류와 가구의 상태, 화장실/샤워실의 급수 및 배수, 에어컨/난방 등의 쾌적성을 점검합니다. 또한 세탁실 등의 공용 구역 시설도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는지 살펴봅니다. • 주방 및 의료 시설 – 주방(갤리) 장비와 식량 저장소의 상태를 점검합니다. 냉장고와 냉동고가 정상 가동되어 식료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지, 조리 기구와 급식 설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선박의 **의무실(의료 시설)**도 의약품 비치 현황과 의료 장비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응급 상황 시 적절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준비합니다. 6. 환경 보호 설비 점검 • 오염 방지 장치 – 선박에 설치된 유분분리기(OWS: Oil-Water Separator), 오수 처리 장치 등의 오염 방지 설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시험합니다. 연료유 잔여물 처리 시설(슬러지 탱크 및 펌프)과 대기 오염 저감 장치(스크러버, SCR 등 해당 시)도 점검하여 **환경 규정(MARPOL 등)**에 부합되는지 확인합니다. • 폐기물 관리 시스템 – 선박의 폐기물 분류 및 보관 절차를 확인합니다. 쓰레기 분리수거 용기와 음식물 찌꺼기 처리 장치 등이 규정에 맞게 구비되어 있는지, **선박 폐기물 관리 계획(Garbage Management Plan)**과 기록부도 준비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선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해양 오염 없이 적절히 관리되도록 관련 시설과 운영 절차를 사전에 확인합니다. 7. 비상 대응 절차 및 훈련 확인 • 비상 매뉴얼 구비 상태 – 선박의 각종 비상 대응 매뉴얼(소방, 구명정 진수, 인명구조 등)이 브리지와 공용 구역에 비치되어 있고 최신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주요 비상 연락망, 비상조치 체크리스트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준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승무원들이 해당 매뉴얼의 위치와 사용법을 알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비상 대응 훈련 기록 – 인수 전에 실시된 비상 훈련(소화훈련, 인명구조훈련, 선내 비상탈출 훈련 등)의 기록부를 확인합니다. 새로운 선박에서 승무원들이 실제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적절히 받았는지 검토하고, 필요하다면 추가 훈련이나 시연을 계획합니다. 정기적인 비상훈련 일정이 수립되어 있는지도 확인하여, 항해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상 상황에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도록 합니다. 이상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10,000 TEU급 컨테이너선이 인수 직후부터 원양 항로에서 안전하게 운항되고, 효율적인 화물 취급과 선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합니다. 모든 항목을 철저히 점검함으로써 초기 운항에서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선박과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